한국 사회의 진짜 위기는 경제도, 안보도 아닌 '공존의 붕괴'다. 그 중심에 계층 간의 갈등을 부추기는 정치가 있다. 최근 K당과 극우보수집단이 구사하는 언어와 전략은 놀랍도록 유사하다. 이들은 ‘부자 vs 가난한 사람’, ‘청년 vs 노년’, ‘수도권 vs 지방’, ‘공정 vs 특혜’라는 프레임을 통해 국민을 끊임없이 이간질시키고 있다.
![]() |
극우 유튜브 채널과 그에 편승한 정치인들은 “요즘 젊은 애들 편하자고 나라 망친다”고 말하고, 반대로 또 다른 쪽에서는 “기성세대가 다 해먹고 우리 세대엔 남은 게 없다”고 맞선다. 이런 갈등은 자생적이기보단, 정치적으로 증폭된 측면이 크다. 정치세력이 일부러 갈등을 키운다. 이득을 보기 때문이다. 분열된 국민은 강한 권력을 필요로 하게 되고, 극단적인 메시지에 더 쉽게 반응한다.
K당은 이 전략을 반복해왔다. 부유층의 감세는 '공정한 보상'이라 하고, 노동자의 권리는 '귀족노조의 특권'이라 매도한다. 심지어 최저임금 인상을 '청년실업의 원인'이라며 가난한 이들을 서로 싸우게 만든다. 명분은 '시장주의'지만, 실상은 특정 계층의 이해를 보호하기 위한 기득권 수호다.
극우보수집단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간다. '종북좌파', '빨갱이', '공산주의' 같은 오래된 수사를 들춰내며, 진보적 가치를 말살하고, 다문화나 복지 담론마저 이념 프레임으로 격하시킨다. 그들에게 필요한 건 '희망의 정치'가 아니라 '공포의 동원'이다. 불안한 이들에게 희생양을 던져주는 방식이다.
문제는 이 모든 갈등이 현실의 문제 해결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청년은 여전히 주거난과 고용불안에 시달리고, 지방은 텅 비어가고 있으며, 노동자들은 플랫폼 자본주의에 의해 하루하루 갈려 나간다. 그런데 정치권은 책임 대신 갈등만 유통시킨다. 이대로라면 다음 세대는 더 큰 증오와 분열의 사회 속에서 살아가야 한다.
이제는 멈춰야 한다. 정치란 국민을 갈라치는 기술이 아니라, 서로 다른 이해를 조율하고 통합하는 지혜여야 한다. 갈등을 부추기는 정치는 결국 공멸로 귀결된다. 우리는 분열을 넘어, 공존의 정치로 나아가야 한다. 더 이상 국민을 이간질하는 ‘정치 상술’에 속아선 안 된다.
김문교 대표기자 cambroadcast@naver.com